궁중음식실습
( Korean Royal Cuisine Practice )
|
조선왕조의 궁중음식에 관련된 현존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궁중의 식생활 문화의 배경을 이해하고, 조선조 말 궁중에서 이루어지던 궁중의 일상식과 연회식에 대하여 조리법별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계절별 궁중음식과 의궤에 기록된 음식들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재현하는 기술을 학습한다.
|
글로벌식생활문화
( Global Food Culture )
|
식생활과 식문화의 기본 기본개념을 정립하고 세계 식문화의 지역적 분포에 관한 특징을 이해한다. 요리의 기원과 전파를 문화인류학적 측면을 중점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세계의 식문화에 대한 지식을 갖도록 한다.
|
스마트주방관리
( Smart Kitchen Management )
|
스마트주방관리의 특성, 식재료관리, 원가관리, 메뉴계획관리, 주방인적자원관리, 주방위생과 안전관리, 고객관리 등 조리업무 수행에 필요한 관리 이론과 실무를 다룸으로써 주방관리와 관련된 각종 지식을 제공한다.
|
식품가공
( Food Processing )
|
전통발효식품을 비롯하여 각종 가공 및 저장식품의 종류, 가공 및 저장의 식품학적 원리, 가공저장 과정 및 절차 등에 대해 배우며 이를 실습한다.
|
식품위생
( Foods Hygiene )
|
식품의 생산, 제조로부터 최종적으로 사람이 섭취하기까지의 모든 단계에 걸친 식품의 안정성, 건전성 및 완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식품 위생 지식과 수단을 공부하고 이와 관련한 위생 법규의 내용과 적용에 대해 학습한다.
|
실험조리(캡스톤디자인)
( Experimental Cooking Practice(capstone design) )
|
표준 조리법 개발을 위한 실험 조리 설계, 조리법에 따른 조리 단계별 변화 및 결과 차이의 관찰, 최적 조리법 도출을 통해 메뉴 및 신규 상품 개발에 필요한 조리 과학적인 지식과 실험 기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
일본조리실습
( Japanese Cuisine Practice )
|
일본 조리에 사용되는 식품재료 및 각종 요리명, 조리법, 조리기구 등에 대해 익히고 다양한 유형의 일본 음식 조리과정을 실습한다.
|
전통발효식품실습(캡스톤디자인)
( Traditional Fermented Food Practice(capstone design) )
|
전통발효식품을 비롯하여 각종 가공 및 저장식품의 종류, 가공 및 저장의 식품학적 원리, 가공저장 과정 및 절차 등에 대해 배우며 이를 실습한다.
|
조리교과교육론
( Educational Theory of Culinary Teaching )
|
조리과 교육에 필요한 교육이론, 학습 모형, 교육과정 설계, 교수학습 방법의 종류 등에 대해 학습한다.
|
조리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Study and Instruction Method for Culinary Teaching )
|
조리과 교육에 필요한 교재 개발 및 연구, 보조자료의 유형과 개발 등 효율적인 수업 진행에 필요한 지도법을 학습하고 직접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여 예비적인 수업 훈련에 활용하도록 한다.
|
채식과약선음식실습
( Vegetarian Diet & Food Therapy Practice )
|
식물성 및 약선 식재료를 활용하는 채식과 약선음식, 사찰음식 등에 사용되는 식재에 대한 연구, 채식 및 약선음식의 이론과 실기를 학습한다. ‘약식동원(藥食同源)’ 의 동양 전통사상을 근거로 하여 영양적인 특징과 약재의 기능적인 특징을 가진 재료들에 대하여 배우며, 이러한 식재료들의 유기적인 배합으로 색, 향, 맛을 겸비한 음식을 연구하여 음식을 통해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한식연회실습(캡스톤디자인)
( K-Food Banquet Practice (capstone design) )
|
의례상차림의 의의, 절차, 의례 음식의 분류에 대해 학습하고 각종 의례 음식들에 대해 실습한다. 연회 음식, 폐백, 이바지 음식 등의 생산 및 제작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향토음식실습
( Korean Regional Cuisine Practice )
|
각 지역의 지리적 사회적 환경 등으로 향토음식이 생기된 배경을 이해하고, 각 지역의 특색 있는 의례음식, 시절음식 및 고유의 김치와 별미음식 등 그 종류와 조리법을 익힌 후 이를 토대로 향토음식의 현대적 관광 상품화 가능성을 모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