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정보

3학년

한식조리학과 전공 교과목 소개입니다.

3학년 과목명, 소개 정보표
과목명 소개
궁중음식실습 ( Korean Royal Cuisine Practice ) 조선왕조의 궁중음식에 관련된 현존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궁중의 식생활 문화의 배경을 이해하고, 조선조 말 궁중에서 이루어지던 궁중의 일상식과 연회식에 대하여 조리법별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계절별 궁중음식과 의궤에 기록된 음식들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재현하는 기술을 학습한다.
글로벌식생활문화 ( Global Food Culture ) 식생활과 식문화의 기본 기본개념을 정립하고 세계 식문화의 지역적 분포에 관한 특징을 이해한다. 요리의 기원과 전파를 문화인류학적 측면을 중점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세계의 식문화에 대한 지식을 갖도록 한다.
스마트주방관리 ( Smart Kitchen Management ) 스마트주방관리의 특성, 식재료관리, 원가관리, 메뉴계획관리, 주방인적자원관리, 주방위생과 안전관리, 고객관리 등 조리업무 수행에 필요한 관리 이론과 실무를 다룸으로써 주방관리와 관련된 각종 지식을 제공한다.
식품가공 ( Food Processing ) 전통발효식품을 비롯하여 각종 가공 및 저장식품의 종류, 가공 및 저장의 식품학적 원리, 가공저장 과정 및 절차 등에 대해 배우며 이를 실습한다.
식품위생 ( Foods Hygiene ) 식품의 생산, 제조로부터 최종적으로 사람이 섭취하기까지의 모든 단계에 걸친 식품의 안정성, 건전성 및 완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식품 위생 지식과 수단을 공부하고 이와 관련한 위생 법규의 내용과 적용에 대해 학습한다.
실험조리(캡스톤디자인) ( Experimental Cooking Practice(capstone design) ) 표준 조리법 개발을 위한 실험 조리 설계, 조리법에 따른 조리 단계별 변화 및 결과 차이의 관찰, 최적 조리법 도출을 통해 메뉴 및 신규 상품 개발에 필요한 조리 과학적인 지식과 실험 기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일본조리실습 ( Japanese Cuisine Practice ) 일본 조리에 사용되는 식품재료 및 각종 요리명, 조리법, 조리기구 등에 대해 익히고 다양한 유형의 일본 음식 조리과정을 실습한다.
전통발효식품실습(캡스톤디자인) ( Traditional Fermented Food Practice(capstone design) ) 전통발효식품을 비롯하여 각종 가공 및 저장식품의 종류, 가공 및 저장의 식품학적 원리, 가공저장 과정 및 절차 등에 대해 배우며 이를 실습한다.
조리교과교육론 ( Educational Theory of Culinary Teaching ) 조리과 교육에 필요한 교육이론, 학습 모형, 교육과정 설계, 교수학습 방법의 종류 등에 대해 학습한다.
조리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Study and Instruction Method for Culinary Teaching ) 조리과 교육에 필요한 교재 개발 및 연구, 보조자료의 유형과 개발 등 효율적인 수업 진행에 필요한 지도법을 학습하고 직접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여 예비적인 수업 훈련에 활용하도록 한다.
채식과약선음식실습 ( Vegetarian Diet & Food Therapy Practice ) 식물성 및 약선 식재료를 활용하는 채식과 약선음식, 사찰음식 등에 사용되는 식재에 대한 연구, 채식 및 약선음식의 이론과 실기를 학습한다. ‘약식동원(藥食同源)’ 의 동양 전통사상을 근거로 하여 영양적인 특징과 약재의 기능적인 특징을 가진 재료들에 대하여 배우며, 이러한 식재료들의 유기적인 배합으로 색, 향, 맛을 겸비한 음식을 연구하여 음식을 통해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한식연회실습(캡스톤디자인) ( K-Food Banquet Practice (capstone design) ) 의례상차림의 의의, 절차, 의례 음식의 분류에 대해 학습하고 각종 의례 음식들에 대해 실습한다. 연회 음식, 폐백, 이바지 음식 등의 생산 및 제작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향토음식실습 ( Korean Regional Cuisine Practice ) 각 지역의 지리적 사회적 환경 등으로 향토음식이 생기된 배경을 이해하고, 각 지역의 특색 있는 의례음식, 시절음식 및 고유의 김치와 별미음식 등 그 종류와 조리법을 익힌 후 이를 토대로 향토음식의 현대적 관광 상품화 가능성을 모색한다.